
얼마 전에 친구와 만나는 자리에서 전동 킥보드 빔에 대해서 알게 되었어요. 집 근처에 언제부터 자주 보여서 한번 타봐야겠다 생각만 하다가 친구가 사용하고 있길래 저도 한번 타봤습니다. 저녁에 만났는데 앞에 라이트도 들어와서 어두운 길을 갈 때에도 좋은 것 같습니다. 라이트가 생각보다 쌥니다. 친구의 집과 저의 집은 걸어서 약 15분 거리인데 빔을 타고 오니 5분 정도 걸렸다고 합니다. 근거리 이동할 시 굉장히 유용한 수단이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물론 따릉이와 같은 자전거 공유 서비스도 있지만 바퀴를 굴려야 하는 노동(?)이 필요하지만 전동 킥보드는 오른쪽 가속 버튼만 누르면 되니 수고로움이 덜합니다.


이용방법
먼저 빔을 타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빔을 설치해야 합니다. 아이폰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구글 플레이 마켓에서 "빔" 검색 후 앱을 설치합니다. 저는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어 아이폰 기준으로 알려드립니다.

앱을 실행하고 두가지만 해주시면 빔을 사용하실 수 있어요.
1. 회원가입을 한다. 이때 자동차 운전면허증에 등록된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운전면허증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결제 카드를 등록한다. 빔은 무료가 아닌 유료 서비스 이므로 사용한 시간만큼 결제를 해야 합니다.

회원가입이 끝나면 지도에 전동 킥보드 빔이 주차되어 있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요. 킥보드 모양으로 표시된 곳이 빔이 주차되어 있어 위치이고, P라고 붙은 이미지는 전용 주차공간입니다. 그리고 붉은색 도형으로 표시된 지역은 주차 불가한 지역이니 사용 후에는 꼭 주차 불가지역을 피해서 주차하셔야 합니다.
1. 빔이 주차되어 있는 곳으로 이동 후 이용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2. 전동 킥보드 손잡이 중앙에 보면 QR코드가 있어요. QR코드를 찍으면 킥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사용 중에는 배터리 잔량 및 이용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용시간이 있으니 금액도 대충 알 수 있겠죠?
4. 주행이 끝났으면 주차 불가 지역을 피해서 주차를 하고 이용 종료 버튼을 누릅니다.
킥보드 타는 방법

1. 자전거처럼 아래 킥스탠드를 위로 올리고 한쪽 발을 올려줍니다.
2. 다른 한쪽 발로 땅을 밀어 앞으로 전진합니다.
3. 이때 우측 가속 버튼을 누르고 출발합니다. 가속버튼을 세게 누르면 더 빨리 나갑니다. 누르는 강도에 따라서 속도가 조절되니 참고하세요. 브레이크는 왼쪽 손잡이에 있습니다.
이용요금
분당 180원 정도로 이용하실 수 있어요. 10분이면 1,800원인데 근거리 이동하실 거면 적당한 금액으로 보입니다. 또 P라고 쓰여있는 전용 주차구역에 주차를 하면 300원의 빔 포인트를 받을 수 있으니 전용 주차 구역을 이용하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빔 포인트로 실제 이용금액을 결제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위에서 보았듯이 사용 후 주차 불가지역에 주차를 하면 6,000원의 반납 페널티가 있습니다. 꼭 이용 후에 위치를 확인해서 주차 불가 지역이 아닌지 확인 후 이용 가능 지역 안에 주차를 하셔야 해요.
오른쪽 가속 버튼을 누르고 주행하다 보면 생각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걸 느낄 수 있어요. 왼쪽 자전거와 같은 브레이크가 있으니 속도조절을 잘하셔야 합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은 곳을 지나갈 때에는 꼭 서행으로 가셔야 해요.
킥보드 배터리가 없는 경우

이용 시작 버튼을 누르고 킥보드의 QR코드를 찍었을 때 킥보드의 배터리가 없다면 이미지처럼 안내 문구가 발생합니다. 배터리가 없으니 사용할 수 없고 다른 킥보드를 찾으셔야 합니다. 이동거리가 조금 있다면 배터리가 얼마 남았는지 확인하고 타야 할 것 같습니다.